기록
mac OS에서 git, node.js, github, nvm, node.js, iterm2 등 시작하기 본문
0. (1,2단계를 거치려고 보니, 이 단계부터 거쳐야 해서 0번 추가!)
명령어 라인 도구(command line tool)를 설치한다.
xcode-select --install를 터미널에 입력하면 명령어라인도구를 설치하라는 팝업이 뜬다.
xcode-select --version를 입력하여 잘 설치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1. homebrew 설치
homebrew는 mac os용 패키지 관리자
homebrew 공식 사이트에 나와있는 명령어를 복사하여 설치할 수 있다.(https://brew.sh/)
설치 시 맥북 패스워드를 입력해야 한다.
설치가 완료되면 next step으로 안내되는 2줄의 명령어를 하나씩 추가로 입력해준다.
(아마 m1이라서 추가된 듯?)
마찬가지로 brew --version을 입력하여 설치된 버전을 확인할 수 있다.
2. git 설치
brew install git
3. git config
git 계정 설정
git config --global user.name __
git config --global user.email __
git config --list 로 확인할 수 있다.
4. git ssh 추가하기
터미널에 ssh 생성(엔터 여러번 치면 생성됨)
ssh-keygen -t ed25519 -C "your_email@example.com"
그런 다음
cd ~/.ssh
cat id_ed25519.pub
을 입력하면 키가 보인다.
ssh-ed25519...@email.com
이걸 전체 복사해서 github에 입력함
github SSH and GPG keys 에 들어가서 new SSH key 를 클릭하여 추가한다.
이제 로컬에서 git push, pull 할 때 정보를 입력하지 않아도 된다.(최초에만 입력)
+) Personal Access Tokens(PAT) 발급 받기
settings - Developer Settings - Personal access tokens (classic) - New personal access token (classic)
여기서 발급 받은 키 gh...를 복붙해놓기.
키체인 @ github 에서 암호에 발급 받은 토큰 입력
+) credential.helper 설정하기
git의 계정 인증 정보를 매번 입력하지 않도록 인증 정보를 관리하는 도구
osxkeychain 모드를 사용하여 Mac에서 제공하는 Keychain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git config --global credential.helper osxkeychain
git config --global credential.helper # osxkeychain 출력 확인
출처: https://whoyoung90.tistory.com/25
5. 이제 깃헙에 올린 작업물들을 가져오려고 git clone을 할 차례..
인데 그 전에 node.js 부터 설치해야지
또 그러기 전에 nvm부터 설치해준다.
nvm은 Node.js 의 버전을 관리하는 도구이다.
use 명령어를 통해 다양한 버전의 nodejs를 스위칭할 수 있게 해준다.
*nvm을 통해 nodejs를 설치해야 하는 이유
nodejs를 OS에서 직접 설치를 하게 되면 나중에 본격적인 Node.js 프로젝트를 시작하는데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OS에 특정 버젼의 Node.js 를 설치하면, 위에서도 이야기한 여러 버전의 Node.js 를 설치해야 할 경우에 대응을 할 수가 없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먼저 nvm 을 설치하고, 설치한 nvm 을 통하여 원하는 특정 버젼의 Node.js 를 원하는 조건에 따라 복수로 설치하는 방법이 나중을 위해서는 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출처: https://lynmp.com/ko/article/tb585d114096490055
brew install nvm
완료되면 안내에 따라 mkdir ~/.nvm
code ~/.zshrc
터미널에서 안내된 코드를 복사하여 .zshrc 파일 안에 붙여넣고 저장한다.
(만약 vscode에서 code 명령어를 인식하지 못 할 경우, cmd+shift+p -> Shell Command: Install 'code' command in PATH 선택하고 비밀번호 입력)
source ~/.zshrc
을 해서 .zshrc 파일을 적용함. 끝.
nvm -v 로 설치가 잘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제 드디어 node.js를 설치하자.
nvm install node
특정 버전을 설치하고 싶다면
nvm install 00.00.0 버전을 입력하면 된다.
6. 터미널 명령어 정리
ls 현재 경로에 존재하는 파일 목록 확인하기
cd 디렉토리 이동
cat 파일 확인하기
pwd 현재 경로 확인하기
rm 파일 삭제
rmdir 폴더 삭제
mkdir 폴더 생성
touce 파일명 = 파일생성
등등 추가 예정
(참고: remove recursive(재귀) 라는 의미로 -r 옵션은 디렉토리의 경우 하위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를 함께 지운다는 의미)
7. 원하는 디렉토리에서 git clone __(github 링크)
7.1 이때 username과 password를 입력하라고 뜰텐데, 입력했을 때
"remote: Support for password authentication was removed on August 13, 2021."
이러한 에러가 뜰 것. password 인증 방식이 변경되었기 때문.
다음 포스팅을 참조하여 해결하였음(https://hyeo-noo.tistory.com/184)
github-settings-developer settings-personal access token-tokens-generate new token-복사하여 터미널 password에 붙여넣기
7.2 git clone 한 다음 package.json 이 있는 경로에 가서 npm install 함
하지만 여기에서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해서
internal/modules/cjs/loader.js:582
throw err;
^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해결하였다.
package-lock.json 을 삭제하고 다시 npm install, npm start
rm -rf node_modules package-lock.json && npm install && npm start
8. 그러면 내가 작업했던 프로젝트가 열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vscode bash 터미널이 아니라 맥북 기본 터미널에서 동작시켰다.
동작을 종료시키려면 control + c
9. git push 하기
git clone 을 하면 자동으로 remote 저장소에 저장됨
코드를 commit하고 push 하면 github 계정과 연동하는 페이지가 뜨고 인증이 되면 최종적으로 push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0. mac 터미널에서 vscode 실행하기
vscode 에서 Shell Command: Install 'code' command in PATH command 설정 후
code . 명령어 입력하여 실행할 수 있다.
11. iterm2 설치
11.1 brew를 사용해서 iterm2 설치
brew install iterm2
설치된 iterm 실행
11.2 oh-my-zsh
sh -c "$(curl -fsSL https://raw.github.com/robbyrussell/oh-my-zsh/master/tools/install.sh)"
11.3 z chell 설치하기
brew install zsh
zsh는 자동완성 기능이나 타이핑 오류 등을 찾아줘서 편리하다.
11.4 iterm2 테마 적용하기
zshrc 세팅 파일 들어가기
code ~/.zshrc
vi ~/.zshrc로 들어가는 방법도 있다.
여기에서 THEME 부분을 원하는 테마로 설정한다.
ZSH_THEME="agnoster"
source ~/.zshrc 를 입력하여 적용. 그러면 내가 선택한 테마가 적용됨
11.5 폰트깨짐 문제 해결
https://github.com/naver/d2codingfont
폰트 다운로드하고, 목록 중 하나를 압축 풀고, 더블클릭하여 mac에 설치함.
그 다음 iterm 환경설정 cmd + , 로 들어가서
Profiles - Text - Font - D2Coding ligature 검색하여 선택
11.6 터미널 앞부분에 불필요한 부분 정리해서 가독성 높이기
code ~/.zshrc 열어서 하단에 다음 코드 추가하고 code ~/.zshrc 열어서 하단에 다음 코드 추가
prompt_context() {
if [[ "$USER" != "$DEFAULT_USER" || -n "$SSH_CLIENT" ]]; then
prompt_segment black default "%(!.%{%F{yellow}%}.)$USER"
fi
}
11.7 편리한 플러그인 추가하기
11.7.1 최근 사용한 명령어 미리보기로 보여주는 플러그인
git clone https://github.com/zsh-users/zsh-autosuggestions $ZSH_CUSTOM/plugins/zsh-autosuggestions
+) 더 간단하게 brew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brew install zsh-autosuggestions
11.7.2 명령어 하이라이팅 플러그인
brew install zsh-syntax-highlighting
이때 [oh-my-zsh] plugin 'zsh-syntax-highlighting' not found 오류가 뜨고 적용이 안돼서, 마찬가지로 git clone을 하였다.
git clone https://github.com/zsh-users/zsh-autosuggestions ~/.oh-my-zsh/custom/plugins/zsh-autosuggestions
그런 다음 .zshrc에 다음 내용 추가함.
source /opt/homebrew/share/zsh-syntax-highlighting/zsh-syntax-highlighting.zsh
+) intell의 경우는 다음 경로로 추가한다고 함.
source /usr/local/share/zsh-syntax-highlighting/zsh-syntax-highlighting.zsh
11.7.3 기 사용했던 명령어 자동점프
brew install autojump
최종적으로 .zshrc에 설정 적용
plugins=(
git
zsh-autosuggestions
autojump
)
11.8 줄바꿈(개행) 적용하기
.zshrc에 다음 내용 통으로 추가
build_prompt() {
RETVAL=$?
prompt_status
prompt_virtualenv
prompt_aws
prompt_context
prompt_dir
prompt_git
prompt_bzr
prompt_hg
prompt_newline # 해당 위치에 꼭 입력해주어야 합니다.
prompt_end
}
# 해당 내용을 추가합니다.
prompt_newline() {
if [[ -n $CURRENT_BG ]]; then
echo -n "%{%k%F{$CURRENT_BG}%}$SEGMENT_SEPARATOR
%{%k%F{blue}%}$SEGMENT_SEPARATOR"
else
echo -n "%{%k%}"
fi
echo -n "%{%f%}"
CURRENT_BG=''
}
+) 만약 zsh: command not found: code 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면,
vscode를 들어가서 cmd + shift + p
shell command install 'code' command in PATH
이렇게 했는데도 EACCES: permission denied, unlink '/usr/local/bin/code' 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면,
cd /usr/local/bin
sudo rm -rf code
이 동작을 한 다음 다시 shell command install 'code' command in PATH를 선택한다. 그러면 해결됨
+) remind
iterm2 환경설정 창 열기: cmd + ,
+) vi 편집기로 사용하는 방법
.zshrc 파일 설정 변경
vi ~/.zshrc
i 명령어로 수정할 부분 수정한 후
esc
shift :
wq
source ~/.zshrc 로 다시 불러오기
+) mac os 업데이트 후 brew install ## 했을 때 command line developer tools 설치하라는 에러가 떠서
xcode-select --install 명령어로 설치
+) iterm2 적용하고나면 폰트가 깨져서 다운로드를 해서 적용하는데, 그럴 경우 vscode에도 똑같이 적용을 해야 한다.
"terminal.integrated.fontFamily": "d2coding ligature", // iterm2에 적용한 폰트로
"terminal.integrated.fontSize": 14
+) 단축키
How to set keyboard shortcuts to jump to beginning/end of line?
I can see that Ctrl+left/right jumps to the beginning/end of line. How to change this to Cmd+left/right arrow?
stackoverflow.com
참조:
https://lsjsj92.tistory.com/596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53545800/internal-modules-cjs-loader-js582-throw-err
https://velog.io/@towozy/%EC%9E%90%EC%A3%BC-%EC%93%B0%EC%A7%80%EB%A7%8C-%EC%9E%98-%EA%B8%B0%EC%96%B5-%EC%95%88%EB%82%98%EB%8A%94-%EB%AA%85%EB%A0%B9%EC%96%B4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mern stack 복습 - 1 (0) | 2022.01.25 |
---|---|
ajax, form 전송, formData (0) | 2022.01.23 |
window.open 값 전달하기 (0) | 2022.01.10 |
모바일 웹 가상키보드 관련 (0) | 2022.01.02 |
웹 에디터 버튼으로 이미지 이동 (0) | 2022.01.01 |